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LV 12
2. 확률에 대한 공리 (Axioms of Probability) 본문
728x90
영한 번역 키워드
영어 | 한국어 |
---|---|
Sample Space | 표본공간 |
Event | 사건 |
Axioms of Probability | 확률의 공리 |
Probability Measure | 확률 측도 |
Equally Likely Outcomes | 동일한 가능성의 결과 |
Set Function | 집합 함수 |
Belief | 신념 |
1. Sample Space and Events (표본공간과 사건)
- Sample space S: 실험의 가능한 모든 결과의 집합.
- Event A⊆S: 관심 있는 결과들의 부분집합.
예시:
- 동전을 한 번 던지면 S=H,T
- A=H는 앞면이 나오는 사건
2. Axioms of Probability (확률의 공리)
Kolmogorov의 공리 체계에 따라 확률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해야 함:
비음수성 (Non-negativity)
P(A)≥0∀A⊆S
전체 공간의 확률
P(S)=1
가법성 (Countable Additivity)
서로소인 사건 A1,A2,…에 대해,P(∞⋃i=1Ai)=∞∑i=1P(Ai)
3. Some Simple Propositions (기초 명제)
공리로부터 유도되는 기본 성질:
여사건의 확률:
P(Ac)=1−P(A)
부분집합 관계:
A⊆B⇒P(A)≤P(B)
포함-배제 법칙:
P(A∪B)=P(A)+P(B)−P(A∩B)
4. Equally Likely Outcomes (동일 가능성 결과의 경우)
모든 결과가 같은 확률을 가질 경우:
P(A)=|A||S|
- 유한한 표본공간에서 자주 사용되는 모델
- 예: 공정한 주사위, 동전 등
5. Probability as a Continuous Set Function (확률의 연속 집합함수로서의 성질)
Countable Additivity는 확률을 연속적인 집합 함수로 만든다.
사건들의 무한 증가열 A1⊆A2⊆⋯에 대해:
P(∞⋃i=1Ai)=limi→∞P(Ai)
6. Probability as a Measure of Belief (신념의 측도로서의 확률)
- 확률을 객관적 빈도가 아닌 주관적 신념의 측도로 해석
- 베이지안 확률 해석의 기반
- 예: 어떤 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"신뢰도"를 수치화
728x90
'공학 > 확률과 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조합분석(Combinatorial Analysis) (0) | 2025.05.19 |
---|